제목 | 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조찬세미나 개최 | ||
---|---|---|---|
작성자 | 대전상공회의소 | 작성일 | 2025.06.12 |
대전상공회의소(회장 정태희)는 12일 오전 7시 호텔 ICC 1층 크리스탈볼룸에서 ‘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조찬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포럼의 기업 소개 세션에서는 월드와이드비즈니스웹 송요한 대표가 인공지능(AI) 기반의 B2B 거래 관리 플랫폼 ‘페어(Fair)’를 소개했다. 송 대표는 해당 플랫폼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거래 비용을 절감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하며, 디지털 전환 시대에 적합한 기업용 솔루션임을 강조했다.
신임 기관장 인사에 이어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은 “새 정부가 들어선 만큼 그동안의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국민 간 화합과 통합으로 대한민국이 재도약하길 바란다”며 “노사 간 투쟁과 대립이 아닌, 협의와 타협으로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아울러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존중받는 사회가 될 수 있도록 분위기가 조성되고,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행복하게 잘 살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택구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은 지역 관광과 산업의 연계 사례로 최근 출시된 ‘꿈돌이라면’을 언급하며 “대전관광공사와 지역 기업의 협업을 통해 과거 1993년 대전엑스포의 상징인 꿈돌이 캐릭터가 새롭게 부활했다”면서 “이처럼 시민들이 대전에 대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도시브랜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본 강연에서는 김광석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가 초청돼 ‘2025년 하반기 경제전망: 대선 이후의 경제와 트럼프 2.0시나리오’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김광석 교수는 네덜란드 화가 피터르 브뤄헐(Pieter Brueghel de Qude)의 ‘장님의 우화’ 작품을 보여주며, “맹인이 맹인을 인도하면 모두가 넘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기업인 스스로가 현실을 직시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서 김 교수는 최근의 경제 상황을 ‘위기’로 해석하기보다 ‘저성장 고착화’에 따른 인식 착시로 진단했다. 그는 “과거 석유파동과 IMF,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이 실물경제가 붕괴된 것이 진짜 위기”라며 “현재는 성장률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을 뿐, 플러스 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에 맞는 경영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 경제가 비교적 견조한 흐름을 보이는 이유로는, 미국 주식과 펀드 시장에 글로벌 자금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테슬라와 같은 기업은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를 통해 투자자 신뢰를 얻고 있다”며 “혁신기업이 많을수록 유니콘 기업의 등장이 잦고, 이는 곧 선순환적인 투자 환경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교수는 “트럼프는 관세를 무역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해, 상대국의 미국산 원유 수입 확대 등을 이끌어내는 전략을 펼칠 것”이라며 “법인세 인하와 감세정책, 기준금리 인하 압박 등도 해외 자본을 미국 내 제조업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수단”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교수는 일본이 ‘잃어버린 30년’을 겪은 배경에 주목하며,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것이 핵심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AI가 생활과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이라며 “정부는 반도체 중심의 AI 데이터센터 구축 지원과 함께, 네거티브 규제 도입 등 제도적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높이뛰기 종목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딕 포스베리 선수를 언급하며, “당시 모든 선수에게 동일하게 적용된 ‘매트’라는 환경 변화 속에서, 포스베리 선수만이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배면뛰기’ 기술을 과감히 도입해 새로운 기준을 만들었다”며 “AI 역시 마찬가지다. 변화는 모두에게 주어지지만,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전략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미래 경쟁력은 극명하게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는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을 비롯한 이택구 대전광역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 양동훈 대전지방국세청장, 이동열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 대표(부행장) 등 포럼 초청회원과 유관기관·단체장, 기업 임직원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
붙임 : 사진 2매. 끝. |
▲ | 대전상의, ‘FTA 활용 실무교육’ 개최 |
---|---|
‒ | 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조찬세미나 개최 |
▼ | 대전상의-한국철도공사, 해외사업 진출을 위한 동반성장 간담회 개최 |
(우)35235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176번길 51 (둔산동)
대표전화 : 042-480-3114 / 팩스 : 042-480-3100 문의 : daejon@korcham.net
Copyright (c) 2017 daejeoncci, All Right Reserved.